위기를 위기로 인정하고 돌파하려면 그것을 분석할 정교한 관점과 틀이 중요할 것이다. 그러나 현 한국 사회에서 위기를 살펴볼 분석의 관점은 혼란스럽고 그 때문에 더 큰 혼동이 생기기도 한다. 이 때문에 우리가 어떤 위기에 처해 있고 어떻게 돌파할 수 있을지를 논의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. 이를 심각한 ‘분석의 부재’ 상황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그 반대편에선 부족함을 ‘의지의 과잉’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곳곳에서 발견된다. 분석의 부재 상황이 오래 누적되다 보면 그것이 왜 문제인지조차 성찰하지 않은 채 분노와 의지가 모든 것을 대체하게 되고, 더 나아가 다소 ‘비관적’인 분석이 나오면 거기에 대해 쉽게 비난이 쏟아진다.
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'경제와 사회', '민주사회와 정책연구', '교육비평' 등에 실린 것을 대폭 손본 것이다. 번역된 세 편의 글 중 테일러의 글(2장)을 뺀 나머지 두 편은 '월간 사회진보연대'에 번역되어 소개된 것을 이 책에 다시 수록하면서 편저자가 손을 봤다. 번역자 모두에게 감사를 드린다. 이 책은 사회진보연대 활동가들과 함께 힘쓴 공동 노력의 산물이기도 하다.
“마르크스의 강점은 머리가 손보다 빨리 돌아간다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. 손이 책을 쓰고 있는 와중에도 머리는 자기가 쓰고 있는 책이 문제가 있다는 걸 재빨리 간파해서 어느 부분을 어떻게 고쳐야 할지 염두에 두다가, 손이 마침내 마침표를 찍자마자 다시 또 보완 작업을 위해 스스로를 내모는 것이다. 바로 다음 단락에서 앞에 쓴 글의 요지가 틀렸다고 비판하는 것이나 다름없다.”